본문 바로가기
티끌모아 투자

모빅아카데미 2기 주말반 시작! 1주차 강의 내용 정리

by 푸른새벽105 2025. 3. 12.
반응형
비트모빅 아카데미 2기 주말반
1주차 BASIC LEVEL

 

비트모빅 모빅아카데미 2기 주말반 수강신청(모빅소사이어티)

 

비트모빅 모빅아카데미 2기 주말반 수강신청(모빅소사이어티)

모빅소사이어티모빅아카데미 2기 주말반 수강신청 오태민 작가님을 통해 비트코인 -> 비트모빅을 알게 되면서 비트모빅을 모아가고 있고, 고액권 락업까지 하게 되었다.   작가님

bluedawn102.tistory.com

 

드디어 모빅아카데미 2기 주말반
1주차 수업날!

강의시간은 12:30~15:30
뉴비인 친구와 1시간 일찍 만나서
서울역 스페이스쉐어  토파즈홀 도착!
 

 

* 서울역 스페이스쉐어 찾아가는 길
서울역 11번 출구 나와서 10m 바로 앞에 위치
(게이트웨이타워(DB손해보험빌딩) 지하2층 엘리베이터 연결)
 

 
 

강의실이 오픈전이라 근처 매머드 익스프레스에 가서 커피를 사왔다. 
 
강의실에 입장해서 자리 잡으니

운영진께서 책상마다 기념품을 나눠 주셨다. 
작은 노트북 정도가 들어가는 에코백과
모빅소사이어티 티셔츠,
종이지갑을 넣을 수 있는 메모수첩,
강의교재가 들어있다.
 
기념품 모두 한정판 임을 강조하셨다^^
 

 
 
 
 

주말반 정원은 60명이었지만 추가 수강요청이 쇄도하여 
80명으로 증원되었다고 한다. 
 
1주차 basic level에서는 모빅리엘님의 지갑 사용법에 이어
김상환 감독관님의  비밀키의 역할과 공개키에서 주소 변환과정 강의가 있었다. 

 

1기 분들의 후기보니 기술적인 용어들이 많아 나와서 어렵다는 얘기가 대부분이라 
디스코드에 올려주신 평일반 강의 영상을 한번 보고 갔는데도
처음 듣는 외계어(?)들에 당황하며 수업을 마치고 왔다.


 
집에 와서 과제풀이 겸 생소한 전문용어들과 친해지기 위해  
챗gpt와 대화하며 자료정리하고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았다.
(* 잘못된 정보는 댓글로 알려주시길...)

 

 


디지털 시대의 통화 시스템: CBDC와 이원화된 금융 구조

두 계층 시스템(Two-tier system)의 구조

현대 통화 시스템은 중앙은행과 상업은행으로 구성된 이원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구조에서 디지털 화폐는 발행 주체와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존재 함.

 

  • 화폐의 종류
  1.      디지털 형태(Digital): 물리적인 현금이 아닌 디지털 형식으로 존재하며, 전자적 거래를 통해 빠르고 효율적인 결제가 가능하다. 이는 디지털 경제의 발전에 부합하며, 결제 시스템의 현대화를 촉진한다.
  2.      중앙은행 발행(Central bank issued): 국가의 중앙은행이 직접 발행하며, 이는 국가의 통화 주권을 유지하고,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3.      토큰 기반(Token-based): 토큰 형태로 존재하여, 소유권이 디지털 토큰의 형태로 표현된다. 이는 거래의 익명성을 어느 정도 보장하며, 기존의 계좌 기반 시스템과는 다른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다.
  4.      광범위한 접근성(Widely accessible): 일반 대중이 쉽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금융 포용성을 증대시키고,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디지털 결제 시스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 CBDC(중앙은행 디지털 화폐)의 유형

        CBDC는 벤 다이어그램 상에서 회색 영역으로 표시되며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구분된다:

  •         CB reserves and settlement accounts: 중앙은행 준비금 및 결제 계좌
  •         CB accounts (general purpose): 일반 목적용 중앙은행 계좌
  •         CB digital tokens (wholesale only): 도매용 중앙은행 디지털 토큰
  •         CB digital tokens (general purpose): 일반 목적용 중앙은행 디지털 토큰

 

1. 비밀키 (Private Key)
  • 비트코인의 핵심 요소로, 사용자가 소유하는 256비트(32바이트) 난수로 생성 됨.
  • 비밀키를 잃어버리면 해당 비트코인을 영원히 사용할 수 없음(절대 보안 필요)
  • 비밀키의 값은 1 이상 SECP256K1 타원 곡선의 차수(order) - 1 이하의 값이어야 함.
  • 일반적으로 16진수(hex) 형식으로 표현됨.

🔑 비밀키의 가장 중요한 역할

  • 소유권 증명: 비밀키는 특정 주소에 보관된 비트코인을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증거
  • 디지털 서명 생성: 거래를 승인하기 위한 디지털 서명을 생성
  • WIF (Wallet Import Format)

      - 비밀키를 Base58Check 인코딩을 이용해 변환한 값
      - 비밀키에 네트워크 정보 및 체크섬을 추가하여 입력 오류 방지
      - 압축된 공개키의 경우 WIF는 'K' 또는 'L'로 시작하고, 비압축 공개키의 경우 '5' 로 시작
      - 목적: 지갑 소프트웨어에서 비밀키를 쉽게 불러오고 사람이 직접 입력할 때 실수를 줄이기 위함
 

  • BIP38 (비밀키 암호화)

      - 비밀키를 비밀번호로 암호화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방식
      - 일반적으로 '6P'로 시작하는 문자열 형태로 암호화됨
      - 목적: 종이 지갑이나 외부 저장소에 비밀키 보관 시 비밀번호를 추가하여 보안 강화

      - BIP38 암호화된 비밀키를 복호화하려면 암호가 필요하고, 이를 복호화할 수 있는 지갑이 필요.
      * 주의사항: 비밀번호 분실 시 복구 불가능, 암호화/복호화에 시간 소요,
        일부 구형 지갑이나 특정 지갑에서 BIP38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음.
        예: 암호화된 WIF: 6PRWd1GQv3R5...GHp
 
       💡 실생활 예시: 비밀키는 집 열쇠,
                                 WIF는 그 열쇠의 사용하기 쉬운 형태,
                                 BIP38은 열쇠를 비밀번호로 보호된 금고에 보관하는 것과 같음.
 


2. 공개키 (Public Key)

  • 비밀키에서 수학적 연산을 통해 도출되는 값
  • 비밀키를 기반으로 **타원 곡선 디지털 서명 알고리즘(ECDSA, secp256k1)**을 통해 생성.
  • 비밀키와 1:1 대응되며, 비밀키 없이 공개키에서 비밀키를 역추적하는 것은 불가능.
  • 공개키는 압축(compressed) 및 비압축(uncompressed) 형식이 있음.
    • 비압축: 0x04 + (x 좌표 32바이트) + (y 좌표 32바이트) (총 65바이트)
    • 압축: y 좌표 생략, 짝수면 0x02 / 홀수면 0x03 + (x 좌표 32바이트) (총 33바이트)
    • 압축 공개키가 더 효율적이므로, 최근에는 압축 방식이 주로 사용됨.

                       압축 공개키가 선호되는 이유:

                             - 크기가 작아서 거래 데이터가 줄어들고 수수료가 절감됨.

                             -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기본적으로 압축 공개키를 지원함.

                       비압축 공개키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 예전 지갑에서 사용 (과거에는 비압축 공개키가 표준)

                             - 레거시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해야 할 때


3. 주소 (Address)

  • 공개키를 SHA-256 → RIPEMD-160 해시 과정을 거쳐 짧게 변환함.
  • 네트워크 식별자체크섬 추가하여 Base58Check 인코딩을 거쳐 최종 비트코인 주소가 생성됨.

 
💡 실생활 예시: 주소는 은행 계좌번호와 같다. 다른 사람들이 나에게 돈을 보낼 때 필요한 정보

 

비트코인 주소의 주요 유형

주소형식 시작문자 특징 장점 단점
P2PKH 1 공개키 해시 기반 호환성 높음 수수료 높음
P2SH 3 스크립트 해시 기반, 멀티시그 지원 스마트 계약 가능 P2PKH보다 복잡
P2WPKH bc1q 세그윗(SegWit) 기반, 거래 크기 절감 낮은 수수료, 빠른 속도 일부 지갑 미지원
P2TR bc1p Taproot 적용, 슈노어 서명하여 거래크기 줄임 프라이버시 향상, 효율적 아직 호환성 부족

 

세그윗(SegWit) 주소의 개념

    - 세그윗(Segregated Witness, 분리된 서명)트랜잭션에서 서명(Witness) 데이터를 별도로 분리하는 방식.

    - 기존 트랜잭션에서는 서명(Signature) 데이터가 트랜잭션 본문에 포함되었지만,

       **SegWit 트랜잭션은 서명을 별도의 영역(Witness 영역)**에 저장해서 트랜잭션 크기를 줄이는 방식.

   

  •      SegWit의 장점

     - 트랜잭션 크기 감소 더 적은 블록 공간 사용 더 낮은 수수료

     - 더 많은 트랜잭션을 처리 가능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확장성 향상

     - 트랜잭션 변조 방지 (TXID 변경 문제 해결)

     - 스마트 계약과 라이트닝 네트워크 지원

 

P2PKH, P2SH → 기존  주소 유형 (거래 크기가 커서 수수료가 비싸다. 세그윗의 혜택을 받지 못해 속도가 느리다. )
P2WPKH, P2TR → 세그윗과 Taproot로 개선된 주소 (수수료 낮음, 효율적)


💡 실생활 예시:  택배를 보낼 때 작은 상자를 쓰면 배송비가 적게 드는 것처럼, SegWit 주소를 쓰면 트랜잭션 크기가 줄어들어 수수료가 절감되는 효과! 🚀

 

 

 

< 용어 이해하기 >

** 해시(Hash)

문장 길이에 관계없이 일정한 길이의 값으로 변경

문장 내용이 같으면 같은 해시값을 가진다

반면, 문장이 일부라도 다르면 완전히 다른 해시값을 가진다.

-> 해시값 조합을 통해 원문을 유추할 수 없음
 

728x90
반응형